4단계 BK21 빅데이터 애널리틱스 기반 문제 정의형 인재 양성 사업단

QUICK MENU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 KUPID

비전 및 목표

[교육연구단의 비전, 목표, 핵심인재상, 전량방향, 전략과제]

 

◼ 4차산업혁명으로 인해 변하게 될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인재상을 투영하여 본 교육연구단에서는 융복합 인재, 실천적 인재, 창의적 인재, 국제적 인재, 윤리적 인재의 다섯 가지 인재상을 설정함

▪ 산업 현장 문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이해하는 【융복합 인재】

 ∙ 4차산업혁명 시대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현장의 문제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명확히 정의할 수 있으며, 창의적인 대안을 도출할 수 있는 융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고자 함

▪ 빅데이터 기반 문제 해결 전문 지식을 갖춘 【실천적 인재】

 ∙ 경험 기반의 의사결정과 함께 빅데이터 기반의 사실 기반 의사결정을 결합하여 현장의 문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전문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고자 함

▪ 미래산업 혁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창의적 인재】

 ∙ 전문적인 지식과 실천적 역량을 바탕으로 사고의 폭을 확장하여 혁신적인 제품/서비스를 기획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함

▪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아우를 수 있는 【국제적 인재】

 ∙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개방적 태도, 뚜렷한 주관을 가지되 타인의 다름을 인정하는 태도, 언어적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유한 국제적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함

▪ 사회적 가치 창출 역량을 지닌 【윤리적 인재】

 ∙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소외될 수 있는 인간 본연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시민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는 윤리적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함

 

◼ 빅데이터 분야 세계 저명대학 벤치마킹 분석 결과와 본 교육연구단의 미래 목표

▪ 빅데이터 분야의 교육/연구/산학 관점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는 총 다섯 곳의 대학(MIT, Stanford University, University of Washington,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Carnegie Mellon University)을 대상으로 벤치마킹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함

 ∙ 교육: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고려한 맞춤형 인력 양성이 필요하며, 이론과 현장이 조화된 교육 커리큘럼 구성이 요구됨. 또한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실무적 교육을 강화하고 학생이 주도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설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음

 ∙ 연구: 연구의 지속성과 현실문제 해결 관점에서는 산업체에 진출한 졸업생과 재학생들 사이에 지속적으로 협력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 또한, 현장 중심의 연구주제 발굴을 통한 문제 정의 능력을 배양할 필요가 있으며, 창의적인 연구 아이디어 도출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

 ∙ 산학: 현장의 Domain Knowledge와 대학의 이론 지식을 연결하는 매개체가 되어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 또한, 현실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이를 사업화/지식재산권화 하는 교수 및 대학원생들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

 

▪ 이를 바탕으로 본 교육연구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각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중점 전략을 수립

 ∙ 교육: 성장 맞춤형 박사과정 체계 구축, 학생 주도 교육프로그램 개설 지원, 문제정의 능력 배양을 위한 현장/프로젝트 중심 교육 설계 등

 ∙ 연구: Research Matchmaking 운영, 문제 정의 경험을 위한 산학 단기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빅데이터관련 글로벌 경진대회 참가 지원, 실패사례 포럼 개최 등을 통한 창의적 연구문화 정착 지원 등

 ∙ 산학: 산업체 엔지니어와 참여대학원생의 1:1 멘토링 연결, Data Analytics Marketplace 운영, 국내외 산업체 연계 빅데이터 포럼 운영, 교수/대학원생 창업 지원 등

 

◼ 교육연구단의 학사단위로서의 안정화 및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 본 교육연구단은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전임교원 전원이 참여하는 교육연구단으로서 학과 전체의 발전 전략을 본 BK FOUR 사업의 발전 전략과 동일하게 수립하고 발전시켜 나갈 예정임

 ∙ BK FOUR 사업 종료 후에도 본 사업을 통해 기획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연속성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음

 ∙ BK FOUR 사업을 기본 뼈대로 하여 본 교육연구단의 참여교수진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국가연구개발사업들을 유기적으로 조직하여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본 교육연구단은 하나의 독립된 학과의 전임교원 전원이 참여함으로써 교육 커리큘럼 개발, 연구 및 산학협력 관련 제도 개선 등에 있어서 참여/비참여 교수가 존재하는 단일 학과나 여러 학과의 전임교원들로 구성된 교육단에 비해 의견 수렴 및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음

 

[빅데이터 분야 세계 저명대학 벤치마킹 분석 결과와 시사점에 따른 본 교육연구단의 전략목표]

 

◼ 교육연구단의 대표적 미래 목표에 대한 달성 방안

▪ 교육, 연구, 산학협력 관점에서 각각 9가지의 세부 전략을 통해 빅데이터 애널리틱스 분야의 5대 인재상을 갖춘 핵심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KUBE9(큐브 나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본 교육연구단을 운영하여 BK FOUR 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함

 

[KUBE9 프로그램 (교육, 연구, 산학 각각 9개의 대표 전략 프로그램)]

 

◼ 본 교육연구단 인재 양성을 위한 KUBE9 프로그램의 교육 관련 세부 전략은 다음과 같음

▪ 교육 전략 1: 학생의 교육 선택권 확대

 ∙ 학·석사연계과정, 석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박사과정, 학·연·산협동과정 등 다양한 학위과정 운영을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미래 진로에 맞게 입학할 수 있는 선택권 확대

 ∙ 주기적인 설문조사 및 강의평가를 통해 대학원생(수요자) 요구에 따른 교과목 신설 및 개편

 

▪ 교육 전략 2: 대학원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학사관리 개선

 ∙ 정규 교과 과정에서는 수강생 다양성 추구 및 강의 평가 제도 반영을 통한 교과목 담당 교수의 수업의 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수료 후 학위 취득까지의 과정에서 박사과정 학생들의 학위논문 작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

 

▪ 교육 전략 3: 성장 맞춤형 박사과정 지원

 ∙ 박사과정 학생들의 연차에 따른 역량 평가, 논문 커미티 구성, 집단 지도체제 운영 등을 통해 개개인의 성장 곡선에 맞는 학위 취득 프로그램을 운영

 ∙ 학위 취득 후 Academic(교원), Research(연구원), Management(취업/창업) 중 희망 진로에 따른 박사과정 멘토링 수행

 

▪ 교육 전략 4: 대학원생 주도 온라인 강의 개설 지원

 ∙ 학습 관점에서 피동적인 지식의 흡수보다는 능동적인 지식의 전달이 학습 효과가 높다는 점이 다양한 연구 사례로부터 입증됨(예: 유대인의 히브루타 학습법)

 ∙ 대학원생들이 주도적으로 짧게는 강좌를 개설하고 온라인(고려대학교 MOOC 채널, 유튜브 등의 동영상 플랫폼 이용)으로 강의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 장려

 ∙ 개설된 온라인 강좌는 무료로 공개함으로써 대학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대학원생 개인으로서는 사회적 가치 추구에 기여할 수 있는 동기부여 제공

 

▪ 교육 전략 5: Big Data Day 개최를 통한 다채널 교육 기회 제공

 ∙ 빅데이터 관련 현업 전문가 및 국내외 학술 연구자를 초빙한 세미나를 개최하여 개방형 학술 교류의 장을 조성하고, 다양한 분야와의 융복합을 주제로 하는 최신 연구 이슈와 방법론을 소개

 ∙ 각 대학원생의 특정 분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협력 세미나를 개최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 전문 지식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함

 

▪ 교육 전략 6: 문제 정의 능력 배양을 위한 산학협력 실전형 교과과목 개설

 ∙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한 전공의 지식만으로는 정의 및 해결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때문에 다양한 세부 전공의 교수진(예: 물류-통계-헬스케어 등)들이 팀을 구성하여 1년 단위의 프로젝트 교과목 운영을 통해 융복합적 사고방식의 함양과 문제정의 및 해결 역량을 제고

 ∙ 수업의 수강에 치우치지 않고 프로젝트 기반 팀티칭의 결과물을 다양한 경진대회에 출품하여 대학원생 본인의 이력 관리와 연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지원

 

▪ 교육 전략 7: 해외 석학 초빙 특강 및 학술 세미나 운영

 ∙ 빅데이터 분야 해외 유수 대학 교수 및 글로벌 선도 기업의 전문가 초청 특강 프로그램 운영

 ∙ 참여 교수진들의 추천을 통한 연사 선정 뿐만 교육사업단 참여 대학원생들의 추천을 통한 Bottom-Up 방식의 연사 선정 및 온라인 세미나 운영을 통한 물리적 제한 극복

 

교육 전략 8: 해외 단기교육/썸머스쿨/복수학위 프로그램 등의 국제교류 교육프로그램 개설

 ∙ 벤치마킹한 해외 유수 대학들과의 MOU 체결을 통해 복수학위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

 ∙ 빅데이터 교육과정의 발전 및 대학원생들의 폭넓은 경험과 지식교류의 일환으로 해외 협력대학들과 15일 내외의 해외 단기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 빅데이터 분야 학문 발전 및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썸머스쿨 프로그램을 운영

 

▪ 교육 전략 9: 해외 대학과의 동시 교육을 위한 G-Class 교과목 운영

 ∙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유수 대학의 석학 및 산업체 실무자가 참여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G-Class 과목 운영

 ∙ 세계적인 산업체 실무자를 초빙하여 수준 높은 실시간 과목을 개설함으로써 본 교육연구단에서 개설한 과목의 국제화 및 교육 품질 제고를 실현

 

◼ 본 교육연구단 인재 양성을 위한 KUBE9 프로그램의 연구 관련 세부 전략은 다음과 같음

▪ 연구 전략 1: 교육연구단 참여교수 및 대학원생의 연구 공유 플랫폼 구축

 ∙ 본 교육연구단의 참여교수진과 대학원생들은 빅데이터 중심 이론 및 응용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므로 연구 결과물에 대한 공유 및 협력을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 연구 데이터 공유 서버 구축, 중복 연구 회피 및 공동연구 활성화, 논문 및 틍허 공유, 참여 교수 및 대학원생 정기 세미나 개최 등

 

▪ 연구 전략 2: 졸업생 연계 Research Matchmaking 지원

 ∙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한 졸업생들은 현장의 다양한 빅데이터 기반의 문제해결 수요에 접하게 되나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모든 문제를 내부에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함

 ∙ 다수의 졸업생과 다수의 재학생을 서로의 필요에 맞게 연결시켜주는 Research Matchmaking을 지원하여 연구를 통한 현장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함(Carnegie Mellon University 모델)

 

▪ 연구 전략 3: 문제 정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단기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 기업체 실무자들과 함께 현장문제를 논의하고 빅데이터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정의할 수 있는 능력 배양

 ∙ 대학원생으로 하여금 원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래 산업과 관련한 핵심 기술을 연구할 수 있는 연구팀을 구성 및 지원하여 혁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함(MIT 모델)

 ∙ 현장 경험을 통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실제 학위 연구로 연계함으로써 산업문제 해결 위주 연구 분위기 확산(MIT 모델)

 

▪ 연구 전략 4: 빅데이터 관련 국내외 경진대회 참여 지원

 ∙ 글로벌 기업들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경진대회를 운영하여 학계로부터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해결책을 전달받고 있음

 ∙ 대학원생들의 빅데이터 관련 국내외 경진대회 참여 독려를 통해 창의적 사고방식의 함양과 실천적 문제 해결 역량을 제고하고자 함

 

▪ 연구 전략 5: 공공 빅데이터 활용 연구팀 지원

 ∙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다양한 기관이 보유한 공공 빅데이터를 원시 데이터로 제공하고 있음

 ∙ 이러한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공안전, 환경, 보건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팀 구성 및 활동을 지원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관심을 갖는 윤리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

 

▪ 연구 전략 6: 빅데이터 실패 사례 경진대회 개최

 ∙ 미국의 실리콘밸리에서는 매년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 기업들이 자신들의 실패담을 공유하고 토론하면서 재기의 모티브를 얻는 FailCon(Failure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으며 우버 등의 유니콘 기업들도 초창기에 이러한 컨퍼런스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사업 모델을 혁신하고 발전시킴

 ∙ 빅데이터 연구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실패 사례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장의 지혜를 배울 수 있는 기회 제공

 ∙ 도전적인 연구일수록 성공보다는 실패 확률이 높으며 참여 대학원생들에게 실패하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아무런 도전도 하지 않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라는 연구단 철학을 공유

 

▪ 연구 전략 7: 우수 연구자 인센티브 제도 도입

 ∙ 우수한 연구 성과에 대해서는 논문게재 인센티브 지원을 통해 참여 대학원생들의 동기부여 제공

 ∙ 국제 학술지 편집위원 및 국제 학술회의 운영위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참여 교수에게도 연구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본 교육연구단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하고자 함

 

▪ 연구 전략 8: 빅데이터 분야 국제 심포지엄 개최

 ∙ 해외 석학 및 산·학·연 빅데이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빅데이터 분야 저변 확대 및 학술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특강과 토론이 이루어지는 글로벌 포럼의 참여를 적극 권장하여 글로벌 빅데이터 동향 및 관련 연구 동향 파악 지원

 

▪ 연구 전략 9: 해외 대학과의 국제 공동연구 프로그램 운영

 ∙ 해외 유수 기관과의 MOU 체결을 통한 참여 대학원생 교류 프로그램 마련

 ∙ 연구실 단위의 교환학생 또는 공동연구 프로그램 발굴을 통한 국제협력 연구 강화

 

◼ 본 교육연구단 인재 양성을 위한 KUBE9 프로그램의 산학협력 관련 세부 전략은 다음과 같음

▪ 산학협력 전략 1: 교육연구단과 기업체간의 공동 연구센터 설립

 ∙ 빅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높은 기업과 교육연구단이 협력할 수 있는 공동 연구센터 설립을 추진

 ∙ 참여 대학원생들은 실제 산업체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현장문제 해결형 연구를 수행하여 현장 경험 및 실제 데이터 분석 능력 강화

 ∙ 참여 기업은 빅데이터 애널리틱스 관련 최신 방법론에 대한 단기 지원이 아닌 장기적 지원 및 협업을 통해 기업 현장에 최적화된 솔루션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산학협력 전략 2: 산업체 위탁 학술연구 및 산학협력 파견 대학원생 인원 확대

 ∙ 산업체의 장기적인 인력 재교육 수요에 맞게 빅데이터 관련 학술연수생 제도를 적극 활용

 ∙ 산학협력 장학생 제도 추진을 통해 참여 대학원생들의 경제적 안정성을 도모하고, 필요에 따라 현장 문제를 직접 해결하여 연구 성과물로 도출할 수 있는 대학원생 파견 실시

 

▪ 산학협력 전략 3: 산업체 단기 위탁 파견학생 제도 도입

공동 연구센터 설립이 어려운 규모의 기업체를 대상으로 현장의 필요에 따른 연구실 단기 위탁 파견학생 제도를 운영

산업체 엔지니어가 현업 문제와 데이터를 제공하고 참여 교수 및 대학원생이 빅데이터 애널리틱스 방법론을 통해 해결을 지원하는 상생 모델 추구

 

▪ 산학협력 전략 4: 산업체 엔지니어와 교육연구단 대학원생 1:1 연계 지원

 ∙ 이미 교육연구단에서는 다양한 기업에서 빅데이터 비전공 엔지니어들에 대한 대학원생 및 교수의 1:1 연계 및 멘토링을 수행 중이며 기업과의 협의를 통해서 기업의 도메인 전문가와 분석 업무를 함께 할 수 있는 대학원생과 팀을 만들고, 주기적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개최하고 있음

 ∙ 교육연구단 차원으로 확장하여 현장 엔지니어의 재교육과 재학생들의 문제 정의/해결 능력 제고

 

▪ 산학협력 전략 5: 현업 문제 해결을 위한 Big Data Industry 포럼 개최

 ∙ Big Data Industry 포럼을 주기적으로 개최하여 현장과 학교의 목소리가 어우러질 수 있는 기회 제공(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모델)

 ∙ 기업 입장에서는 최적으로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고, 학교 입장에서는 현장의 생생한 문제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산학협력 전략 6: 중소/중견기업 대상 Data Analytics Market Place 운영

 ∙ 대기업 위주로 진행되는 기존의 산학연구과제의 대상을 확대하여 지역사회 중소기업들에게 보유 빅데이터 관련 기술을 소개하고 협력이 필요한 기업들과 연구실 혹은 연구팀을 연결시켜 주는 Market Place를 정기적으로 개최

 ∙ 이에 더하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소외될 수 있는 집단을 인지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 환원적 연구활동을 통해 윤리적인 소양을 함양하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Stanford University 모델)

 

▪ 산학협력 전략 7: 글로벌 현장실습 및 해외 취업연수 기회 제공

 ∙ 본 교육연구단의 교육/연구활동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해외 산업체 위주의 공동세미나를 개최하고 이를 통해 협업 체계 구축

 ∙ 참여학생들에게 글로벌 현상실습과 해외취업연수 기회를 제공하여 국제적인 감각을 갖출 수 있는 글로벌 인재 양성(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모델)

 ∙ 학위기간 중 참여 학생들의 해외인턴 유도를 위해 해외인턴 합격 시 인센티브 제공

 

▪ 산학협력 전략 8: 교육연구단 참여교수 및 대학원생 창업 지원 강화

 ∙ 빅데이터 관련 기술을 바탕으로 창업하는 교수 및 대학원생들에게 공간 및 연구장비를 지원하고 본교 산학협력단과의 연계를 통한 경영 및 법률적 지원을 제공

 ∙ 학생들이 자유롭게 창업할 수 있도록 일정 부분 자금 지원하고, 기술이전에 대하여 기업과 학교가 유기적으로 협력 가능한 구조를 갖출 수 있도록 함(Stanford University 모델)

 ∙ 창업경진대회를 개최하여 교수-대학원생과 투자 및 기술이전에 관심 있는 산업체를 매칭

 

▪ 산학협력 전략 9: 지적재산권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 활성화

 ∙ 연구 결과물을 통해 현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을 장려

 ∙ 필요 기술에 대한 정의 및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업에게는 일정기간 동안 무상실시권을 부여하여 산업체에서 현장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오픈할 수 있는 동기 부여